본문 바로가기
M_history

[위대한개츠비] 줄거리, 주요 캐릭터 분석, 영상미 좋은 영화

by 그럼에도하루살이 2025. 4. 28.
반응형
ㅡ 목 차 ㅡ

1. 줄거리
2. 주요 캐릭터 분석
3. 영상미 좋은 영화
4. 감독의 메시지







1. 줄거리

위대한 개츠비는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야기로, 1920년대 미국의 화려한 재즈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주인공 제이 개츠비는 부와 성공을 이룬 신비로운 백만장자로, 과거 연인 데이지 뷰캐넌과의 재회를 꿈꿉니다. 이야기는 데이지의 사촌 닉 캐러웨이의 시선으로 전개됩니다. 닉은 뉴욕 롱아일랜드의 웨스트 에그에 이사와 개츠비와 이웃이 됩니다. 개츠비는 데이지와 재회하기 위해 호화로운 파티를 열고, 닉을 통해 그녀를 초대합니다. 데이지는 이미 톰 뷰캐넌과 결혼한 상태지만, 개츠비의 열정에 끌려 둘은 불륜 관계로 발전합니다. 그러나 톰의 질투와 갈등이 커지며 비극적 사건이 이어집니다. 데이지의 친구 조던 베이커와 닉도 얽히며 복잡한 감정이 드러납니다. 결국, 개츠비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비극을 초래하고, 그는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쓸쓸히 생을 마감합니다.




2. 주요 캐릭터 분석

이 영화의 주요 인물들은 각기 독특한 성격과 상징성을 통해 1920년대 재즈 시대의 허상과 갈등을 드러냅니다.

- 제이 개츠비(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신흥 부호로, 낭만적 이상주의자이자 비극적 영웅입니다. 과거의 연인 데이지를 되찾으려는 집착은 그의 호화로운 파티와 부의 과시로 나타납니다. 순수한 사랑과 야망을 추구하지만,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 좌절하며 허구적 꿈의 희생양이 됩니다.

- 데이지 뷰캐넌(캐리 멀리건): 매력적이지만 허영심 많고 나약한 상류층 여성입니다. 그녀의 부드러운 목소리와 아름다움은 개츠비를 매혹하지만,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우선시해 톰을 선택합니다. 데이지는 물질주의와 도덕적 공허함을 상징합니다.

- 톰 뷰캐넌(조엘 에저튼): 거만하고 권위적인 전통적 상류층 남성입니다. 부와 권력을 바탕으로 불륜과 폭력을 일삼으며, 도덕적 타락을 드러냅니다. 그는 개츠비의 신흥 부와 대비되며, 구세대 엘리트의 위선을 대표합니다.

- 닉 캐러웨이(토비 맥과이어): 이야기의 화자로, 관찰자이자 도덕적 기준을 제시합니다. 중립적이고 성실한 성격으로 개츠비의 꿈과 상류층의 타락을 목격하며, 환멸 속에서 성장합니다. 그의 시선은 관객과 영화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

- 조던 베이커(엘리자베스 데비키): 독립적이고 냉소적인 프로 골퍼로, 시대의 현대적 여성을 상징합니다. 닉과 로맨스를 나누지만, 결국 상류층의 허위에 동참하며 깊은 감정을 피합니다.

이 인물들은 각기 사랑, 계층, 도덕의 갈등을 통해 미국 꿈의 찬란함과 붕괴를 보여줍니다.




3. 영상미 좋은 영화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미술감독 캐서린 마틴(Catherine Martin)의 탁월한 감각이 빛나는 작품입니다. 1920년대 미국 재즈 시대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가미해 시대성과 현대성을 절묘하게 융합했습니다. 먼저 영상미 측면에서, 영화는 과장된 색채와 화려한 세트 디자인을 통해 "황금기"의 환상적 이미지를 극대화합니다. 카메라는 과시적인 파티 장면에서는 빠른 컷 편집과 휘황찬란한 색감을 강조하고, 개츠비의 내면을 비출 때는 어둡고 절제된 색조를 사용하여 감정의 진폭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이 영화에서 영상미가 강렬하게 돋보이는 장면은 바로 개츠비의 파티 장면입니다.

개츠비의 저택에서 열리는 파티는 이 영화의 시각적 스타일을 가장 과감하게 드러내는 순간 중 하나입니다. 이 장면은 과장된 색채, 역동적인 카메라 워크, 세밀한 소품 디자인이 총동원되어 재즈 시대의 광란과 사치, 그리고 허무함까지 압도적으로 표현합니다.

우선 색감은 황금빛과 은빛이 주를 이루며, 조명은 반짝이는 샹들리에, 폭죽, 그리고 은은한 조명 속에서 인물과 배경을 빛나게 만듭니다. 푸른 색조와 금빛 조명의 대비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흐리게 하며, 파티의 환상성을 강화합니다. 의상 역시 화려함의 극치로, 여성들은 스팽글과 깃털로 장식된 드레스를 입고, 남성들은 광택 있는 턱시도로 꾸며져 각각 '꿈'을 입은 듯한 인상을 줍니다.

카메라는 빠른 패닝과 돌출 앵글을 활용해 파티의 혼란스러움을 생생히 포착합니다. 수영장, 거대한 무대, 천장까지 뻗어 오르는 폭죽 쇼, 샴페인이 넘실대는 테이블 등은 끊임없이 화면을 가득 채우며, 관객이 파티의 한가운데 있는 듯한 몰입감을 줍니다. 이 과잉된 연출은 단순한 화려함을 넘어서, 꿈과 환락을 좇는 인간 군상의 공허한 본질을 은연중에 드러냅니다. 이 장면은 위대한 개츠비 전체 주제인 "화려한 허상과 그 이면의 슬픔"을 시각적으로 압축한 명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영상미가 돋보이는 장면은 개츠비가 닉과 데이지를 처음으로 자신의 저택에 초대하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은 미술, 조명, 색채가 절정에 이르러 캐릭터의 감정과 주제를 시각적으로 극대화합니다. 폭우가 내리던 우중충한 분위기에서 시작해, 데이지와 재회한 뒤 갑자기 햇빛이 쏟아지며 공간 전체가 밝게 물드는 연출은, 두 사람의 재회가 개츠비에게 얼마나 찬란한 순간인지를 상징합니다.

개츠비의 저택 내부는 과장된 부유함을 드러내는 대표적 공간입니다. 수백 개의 하얀 셔츠를 창밖으로 흩뿌리는 장면은 특히 인상적입니다. 셔츠는 개츠비가 쌓아온 재산과 데이지를 향한 헌신을 시적으로 표현하며, 셔츠가 하늘을 가득 메우는 이미지는 꿈과 현실의 경계를 무너뜨립니다. 또한, 카메라는 화려한 샹들리에, 반짝이는 대리석 바닥, 끝없이 늘어선 꽃 장식을 부드럽고 유려한 움직임으로 담아내어, 이 모든 것이 개츠비가 만들어낸 '완벽한 순간'임을 시각적으로 강조합니다.




4. 감독의 메시지

감독은 시대비판적 관점에서 이 영화를 통해 1920년대 미국 사회의 탐욕과 부패를 날카롭게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겉으로는 경제적 번영과 화려함을 구가하던 시대였지만, 그 이면에는 도덕적 타락과 인간성의 상실이 깊게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감독은 이를 파티의 환락과 인물들의 허영을 통해 직설적으로 표현하며, 관객이 시대의 이중성을 인식하게 만들고자 했습니다. 주인공이 추구하는 사랑과 성공은 순수한 개인적 열망이었지만, 이를 둘러싼 환경은 물질주의와 이기심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감독은 이러한 대조를 통해 개인이 아무리 고귀한 꿈을 품더라도, 부패한 사회 속에서는 결국 그 꿈이 왜곡되고 파괴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독은 당시의 미국 사회를 오늘날과 겹쳐 보이게 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도 물질적 성공만을 좇는 삶의 허무함을 되돌아보게 하고자 했습니다. 화려함 이면의 공허함을 끝까지 관통하는 이야기 구조를 통해, 결국 진실한 가치는 외면당하고 거짓된 번영만이 남는 사회의 비극을 뼈아프게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반응형